본문 바로가기
꿀정보/생활

중임제 뜻? 연임제 뜻? 중임제와 연임제의 차이, 우리나라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by 도토리다 2025. 5. 19.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소엔 잘 모르지만
정치 뉴스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중임제’, ‘연임제’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보려고 해요!

대통령 선거나 개헌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자주 언급되는 이 두 용어,
비슷한 것 같은데 조금씩 다르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통령 임기제는 이 둘과는 또 조금 다른 방식이죠.

이 포스팅에서
✔ 중임제 뜻
✔ 연임제 뜻
✔ 두 제도의 차이
✔ 우리나라 대통령 임기제 현황
까지 한 번에 총정리해 드릴게요!

중임제와 연임제의 차이, 우리나라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중임제란?

중임제(重任制)는
‘한 번 직책을 맡았던 사람이, 일정 기간 후 다시 그 직책을 맡을 수 있는 제도’예요.

즉, 임기를 연속으로 하지 않아도, 일정 조건만 맞으면
나중에 또 출마해서 대통령이 될 수 있는 제도죠.

예를 들어볼게요:

  • A 대통령이 5년 임기를 한 번 하고,
  • 다음 선거에 안 나갔다가
  • 그다음 선거에 다시 출마해서 대통령에 당선됐다면?

👉 이게 바로 중임제예요.

핵심 요약

  • 연속 X → 비연속 가능
  • 임기 제한 있음 (보통 2회)
  • 대표 국가: 미국, 러시아

예시: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즈벨트는 4선까지 했지만, 이후 개헌을 통해 2회 중임만 가능하도록 변경됨.


연임제란?

연임제(連任制)는
‘현재 임기를 마치고 바로 이어서 한 번 더 연속적으로 임기를 수행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즉, 2번 연속해서 대통령직 수행 가능,
하지만 중간에 쉬었다가 다시 나오는 건 불가능해요.

예시 상황:

  • A 대통령이 1기 임기 후
  • 바로 재선에 성공해 연속으로 2기까지 대통령을 하면
    👉 이건 연임제입니다.

핵심 요약

  • 연속만 허용, 비연속 불가
  • 1회 연임 가능 (총 2기까지)
  • 대표 사례: 일부 의회 중심국가

중임제 vs 연임제 비교표

  중임제 연임제
임기 연속성 비연속 가능 연속만 가능
재출마 가능 시점 공백기 후 다시 출마 가능 재임 중 바로 연속 출마만 가능
횟수 제한 보통 2번 제한 보통 1회 연임 (총 2기) 제한
예시 국가 미국, 러시아 프랑스(과거), 일부 의원내각제 국가

우리나라는 어떤 제도?

우리나라는 현재 ‘5년 단임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즉, 대통령은 단 한 번만 5년 동안 재임할 수 있어요.

✔ 재선? 
✔ 중임·연임? 

왜 단임제를 선택했을까?

  • 권력 집중을 막기 위해서!
  • 박정희·전두환 시절 장기집권의 폐해를 반성하며
  •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개헌으로 단임제가 도입되었죠.

그런데 왜 요즘 중임제 얘기가 나올까?

최근 대선과 개헌 논의에서
정치권에서는 “5년 단임제는 너무 짧다”,
성과를 내기도 전에 임기가 끝나버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요.

그래서 대안으로 떠오른 게 바로

4년 중임제
4년 연임제

이 두 가지입니다.

4년 중임제 vs 4년 연임제, 뭐가 다르냐면?

  • 중임제: 4년 하고, 쉬었다가 다시 4년 가능
  • 연임제: 4년 하고, 바로 한 번 더 가능
    → 총 8년까지 가능성은 같지만,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중임제 or 연임제, 장단점은?

중임제 - 정책 연속성 확보  
 
  • 유권자에게 검증 기회 부여 | - 권력 재집중 우려
  • 정치적 무관심 시 장기집권 가능 |
    | 연임제 | - 성과 기반 평가
  • 단기정권의 한계 보완 | - 연속성 강조로 인한 견제 약화
  • 선거 2번 준비 필요 |

✅ 마무리 한줄 요약!

중임제: 한 번 쉬었다가 다시 출마 OK
연임제: 연속으로 2번까지 OK
한국 현행: 5년 단임제 (한 번만 대통령 가능)

정치의 큰 틀을 바꾸는 개헌 논의가 이어지는 만큼,
앞으로 중임제 또는 연임제 개편안이 다시 논의될 수도 있겠죠?